Contents (보고서>결과, 연구/논문>결과+내생각)
1. Introduction (넓은 부분/일반적인 현상 > 좁은 부분/밝혀야되는 특수, 남들과 다른 점 부각, 왜 이것을 연구해야하느냐? 당위성, 융합)
1.1. 경량 구조물(lightweight structure, 철골, 목재)에서 보행감(사용성, serviceability) 문제관련 이전연구 (이병권, 김재호, 최수경교수 등) > 너무 일반적
1.2. 보행감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할 것인가? (이병권, 김재호, 건축학회 보고서-건축물 진동기준 조사연구 등)
1.3. 경량구조물 중에서 삼림/공원/업무 친환경, 뭐시기 목적에 따라 목재 데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보행감에 대한 소음 진동 문제 제기 (이혁재 2018) > 주제에 대한 공감, 있으나... 이에 관련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최근 이혁재 등은 ... 현장 설문조사를 통해 문제가 있다고 강조하였으나, 실제적인 측정은 이뤄지지 않았다.
1.4. 데크 소음이나 진동을 측정한 사례가 있느냐???
1.5 그래서 본연구에서는 (목적)....를 위해서 (방법).... 를 이용하여 (변수)....의 (결과)...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Effects of 목재의 종류 (변수) on 보행감 (결과) using field measurement (방법) for 목적
2. Materials and methods
2.1. 현장 조사를 통한 데크용 목재 종류/결합방식 (대관) > 변수를 확정 (설계요소의 정의)
2.2. 보행감 정의, 측정방법
2.3. 실험환경 : 현장(사실감O, 변수를 통제X), 실험실(사실감X, 변수를 통제O)
2.4. Experimental configuration (실험 설정?)
10 케이스 설명.. (예시)
(장소) (구조체/종류,크기) (목재 종류,두께) (결합방법) (측정방법/가진방법) > 변수
1. 현장A/WPC/보행+볼
2. 현장B / 방부목/보행+볼
(실험실)
3. 실험실 / 각파이프 / 3-1 WPC, 3-2 방부목A, 3-3 방부목 B
4. 실험실 / 각목 / .....
3. Results
변수를 바꿨을 때 결과에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지 (객관적으로 담백하게 기술, 내 생각 X)
3.1. 현장 측정결과
- 현장에 따른 보행감 특성
- 보행진동 모사를 위한 충격원 특성 (고무공 낙하 높이별 비교)
3.2 실험실 측정결과
- 케이스별 측정 결과를 그림이랑 표로 기술
4. Discussion ???? (연구에 대한 내 생각, 이전연구와 비교, 적용성, 저감방안.... )
4.1. 실험실 측정의 유효성 평가
- 실험실과 현장을 비교, 또 이전연구에서 이야기한 내용과 비교하여, 실험실 결과가 의미 있는 것임을 강력하게 피력
4.2. 데크 설계요소의 영향
- 통제변인 하의 해당 변수만 바꿨을때의 결과를 비교하여 의미 부여
4.3 ....... 데크 보행감 향상 또는 문제 예방을 위한 방안?
이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저감기술의
5. Conclusions
- 연구결과의 요약 (초록 동일 결과의기술)
- 토의 각 세부 장별로 나온 결과를 요약해서 기술
- 연구의 의의, 한계, 향후 연구방향
References
문순성
산책용 데크의 보행 소음 및 보행감 시험실 평가방법 제안 및 저감 기술 개발
선박 엔진룸 소음 저감 을 위한 건축적 방안 제안
문풍지 종류에 따라 강화유리도어/자동문에 적용시 차음성능 향상도 비교
막구조 흡음 또는 차음 / 커튼